집단지성은 한 사람의 천재보다 낫다.
특히 요즘처럼 발전이 가속화되는 사회에서 한 사람이 많은 일을 수행한다는 것은 점점 불가능해진다. 전문가들끼리도 협력을 해야 한다. 한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지식의 양은 한계가 있고 경험할 수 있는 절대적 시간도 부족하다. 그래서 집단지성은 더욱 훌륭한 결과를 돌출해 낸다. 얼마 전 성추행범의 CCTV 영상이 인터넷에 공개되자 범인이 바로 자수를 했다고 한다. 경찰 수사력으로는 몇 개월이 걸려도 잡을 수도 없는 범인을 집단지성의 힘으로 검거할 수 있었다. 또한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점을 집단지성을 통해 빠르게 얻어 낼 수 있다. 지식이 보편화 되고 정보를 빠르게 접하게 됨으로서 어떤 경우에는 전문가 보다 일반인이 먼저 새로운 정보를 접하고 전문가에게 당혹스러운 질문을 던지는 경우도 많다. 기업에서는 내부 인원을 줄이고 집단지성을 이용해 정보를 취합하고 반영한다. 그리고 집단의 트랜드를 읽어 빠르게 대응한다. 집단을 이루어 사는 개미나 벌 같은 생명체들은 집단의 협업으로 높은 지적능력을 발휘한다. 나의 지식만을 고집하기 보다는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며 나눈다면 보다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우리시대에 가장 중요한 가치는 화합과 공생이다. 집단지성이 화합과 공생을 이루는 가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를 바란다.
'정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코올중독 (0) | 2013.01.30 |
---|---|
인간의 성향 (0) | 2012.10.17 |
정서적 면역력 (0) | 2012.06.26 |
ADHD 비정상인가? (0) | 2012.06.08 |
남성의 뇌와 여성의 뇌 (0) | 201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