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보 취득의 방법과 의식 최근 대통령 선거가 끝났다. 이번 선거의 특징은 지역주의, 보수와 진보, 기득권과 범야권, 노년층과 젊은 층의 대결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노년층과 젊은 층의 표가 나뉜 점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자. 대부분의 노년층은 여당에게 표를 던졌고 젊은 층은 야당에 표를 던졌다. 이렇게 젊은 층과 노년층이 생각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노인들의 정보취득 방법은 TV나 신문매체이다. TV와 신문은 단방향성 매체이다. 이러한 단방향 매체는 정보가 일방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잘 못 쓰일 경우 정보 공급자의 의도에 따라 국민의식을 길들일 수 있다. 역사상으로 보면 독재 권력자들은 매스미디어를 장악하고 국민들의 의식을 길들이기 시작한다. 특히 북한의 김일성과 독일의 히틀러가 이러한 방법을 사용했다. 오랫동안 길들여.. 더보기 As is 와 To be 현대 사회에서는 계속적인 To-be(미래에 될)모델을 제시한다. 그러면 어디서 To-be (머지않아 될)를 강조하는지 살펴보자.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그 곳으로 당신을 보내세요 -KTX- 긴 인생 아름답도록 -삼성생명- 사람이 좋아진다! -참진 이슬로- 희망이 부족한 곳이면 어디든 달려갑니다. -SK Telecom- 경기는 계속되어야 한다. -파워에이드- 여성들이여, 잠꾸러기가 되자! -에바스 타임- Think Different -애플- Just do it -나이키- Impossible is nothing -아디다스- 꿈, 사랑, 감동의 색동날개 -아시아나항공-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유한킴벌리- 나의 꿈, 나의 차 -기아자동차- 모두가 꿈꾸는 그곳 -자이- 사상적 To-be모델 이상 세계 건설을 위.. 더보기 부자와 행복지수 부자와 행복지수는 비례하지 않는다. 우리 주변을 보면 부자이면서도 자살한 사람이 많다. 부자는 부자 나름대로의 고민이 있다. 돈이 수단이 되지 않고 목적이 되는 순간 부자들은 돈의 노예가 된다. 어느 정도 부자가 되어도 만족이 끝나지 않는 이상 목마름을 계속된다. 우리는 끊임 없이 상대를 비교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 우리를 위해 돈이 필요한 것이 아니고 돈을 위해 우리가 희생되는 구조로 변하는 것이다. 다음은 영국 신경제재단에서 발표한 국가별 행복지수 표이다. 코스타리카 1위 한국 68위와 미국 114위에 랭크 되있다. 이 표를 보면 부자나라와 행복지수는 관계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코스타리카의 사람들이 행복한 이유는 정치 사회적을 안정되고 평화를 사랑하며 자연환경이 좋다는 것이다. 우리는 .. 더보기 자기소외 자기가 원하는 바가 아닌 사회나 다른 사람이 원하는 대로 사는 것을 자기소외라 한다. 현대 사회에서 자기소외 현상은 더욱 많이 일어난다. 부모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아이가 자라주길 바라고 아이들은 자기가 원하는 바가 아닌 부모가 원하는 행동을 한다. 사회에서는 모델처럼 멋있어야 하고 자기가 아닌 타인의 모습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초상집에서는 슬프지 않아도 울어야 하고 잔치 집에서는 슬퍼도 웃어야 한다. 감정서비스 직종의 사람들은 항상 입가에 미소를 짓고 있어야 한다. 이런 것들은 자신을 진정으로 만나는 것이 아니다. 몸에 안 맞는 옷을 입은 듯 생활한다. 자신의 삶은 없어진다. 자신의 삶이 아닌 남에 삶을 살고 스스로 고립된다. 자신을 포장하고 고귀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더욱 그렇다. 이기적인 사람은.. 더보기 인지부조화 인지부조화는 자신의 행동과 인지의 불일치에 대해서 합리화 하려는 것을 말한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자. 어떤 사람이 사이비 종교에 빠져서 몸과 마음을 바쳐 헌신 한다. 그리고 가족과 재산 정신 모든 것을 사이비 종교에 쏟아 붓는다. 그러나 그것이 잘못된 사이비 종교임이 세상에 밝혀진다. 광신도는 자신의 행동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지만, 그것을 받아들이기에는 너무나 힘들고 억울하기 때문에 자신의 종교가 맞다고 한다. 그리고 더욱 사이비 종교에 매달린다. 어떤 사람이 도박에 빠져 든다. 자신의 재산과 시간을 모두 도박에 탕진한다. 도박을 해서 돈을 갖기 힘들다는 것을 알지만, 이 사람은 도박을 그만 둘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도박을 해서 큰 돈을 딸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담배를 피는 사람이 담배를 나쁘다고 이.. 더보기 친해 지려면 인간들은 자신이 동물과 다르다는 것을 주장하려고 애쓴다. 그러나 인간은 원숭이와 93%이상의 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어느날 나는 TV에서 앙숙인 동물끼리 친해지게 하는 프로그램을 보았다. 나는 이런 방법이 인간에게도 적용된다고 본다. 앙숙인 동물이 친해지는 방법은 그 두 동물을 같은 위험한 상황에 노출 시키는 것이다. 두 동물은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서로 의지하며 상황에 대처해 나가면서 사이가 좋아졌다. 사람도 앙숙인 사람이 친해지려면 두 사람이 도와야만 하는 상황에 노출 시키면되리라 본다. 두 사람만 해외에 배낭여행을 보낸다던지 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부모 자식간에도 친해지려면 야구장을 같이 가서 같은 팀을 응원던지, 같은 팀이 되어 움직이는 프로그램에 참여 하는 방법도 좋다. 어릴적 친구.. 더보기 감정은 사고의 수준을 넘어서는 반응이다. 우리는 미래에 잘살기 위해 엄청난 노력를 쏟아 붓는다. 미래에 잘살기 위해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수십년간 공부를 하고 미래에 잘살기 위해 많은 부분을 인내하고 참아낸다. 좀 더 좋은 직장을 갖기 위해 좀 더 안정된 생활을 하기 위해 좀 더 행복해지기 위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감각기관을 동원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온갖 지식과 정보를 동원하기도 한다. 그러나 미래를 헤쳐나가는 것은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더라도 녹록치가 않다. 어떤 경우에는 수 많은 노력과 에너지를 쏟아 부어도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인간의 뇌는 미래의 생존을 위해 수십만년 동안 복잡한 계산을 거듭해 왔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수십억년 전부터 생물체는 생존을 위해 가장 많은 에너지를 쏟아왔다. 그러나 생명체에게 있어 미래에 대한 예측이란 .. 더보기 일 중독 1 대학시절 어떤 친구를 만났다. 이 친구는 알바를 해서 학비를 보태고 공부도 열심히하고 항상 바쁘게 살았다. 그리고 밤 늦게 집으로 들어갔다. 그의 집은 가난했고 그의 표정은 우울해 보였다. 나는 그에게 물었다. "넌 왜 이렇게 바쁘게 사니?" 그 친구는 대답했다. "시간이 많고 혼자 있으면 우울해지고 외로워, 그래서 우울하고 싶지 않아서 바쁘게 살어" 일 중독에 걸린 사람은 한가하게 여행을 간다던지 늘어지게 낮잠을 자는 것은 사치라 생각한다. 무엇이 그토록 일을 하게 만들까? 일 중독에 걸린 사람은 모든 가치의 우선을 일에다 둔다. 그리고 이 사람의 마음의 돌파구는 일이다. 어떤 주부는 아이가 잘 크던 말던 상관하지 않고 일에만 전념한다. 아이들은 공부를 못하고 뚱뚱해져 있었다. 이 주부는 자신의 정당성.. 더보기 인정욕구 인정욕구 인간은 인정받기 위해서 몸부림을 친다. 士爲知己者死 (사위지기자사 ) 선비는 자기를 알아주는 자를 위해 목숨을 바치고 母爲悅己者容 (여위열기자용) 여자는 자신을 기쁘게 해주는 자를 위해 화장을 한다 사람은 왜 목숨을 바쳐서라도 인정을 받으려는 것일까? 인정을 받는다는 것은 혼자서 하는 작업은 아니다. 손바닥이 마주쳐야 소리가 나듯 인정해 주는 사람과 인정받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아무도 인정을 하지 않는다면 무효인 존재가 된다. 존재에 의미가 사라지는 것이다. 꽃이 아무리 예뻐도 보아주는 이 없으면 무효인 것과 같다. 상대를 인정하는 사람은 자신을 인정받는다. 아마도 우리가 인정받지 않으려면 존재하지도 않았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우리 생명체는 인정받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닐까. 당신이 누구에게 .. 더보기 서열화 본능 우리들 마음속에 은근히 존재하는 서열화 본능이 있다. 이 본능은 우리들 마음속에 교묘하게 포장되어 있어 스스로 알아채기 힘들다. 우리들에게 마음속에 숨어있는 서열화 본능을 살펴보자. 1. 남을 돕는다는 사람 남을 돕는다는 생각의 이면을 보면 내가 우위에 있다는 의식이 깔려있다. 너희들은 낮고 나는 높다. 그래서 나는 너희들을 돕는 훌륭한 사람이다. 그래서 나는 서열이 높은 사람이다. 2. 자신이 최고인 사람 상대에게 겉으로는 져도 마음속으로는 지지 않는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은 보통 상대를 인정하지 않는다. 저 사람은 운이 좋아서 그래, 저 사람 같은 조건이라면 나도 하겠다. 그리고 상대의 허점을 찾고 비난한다. 그리고 조그만 허점에도 상대를 비웃는다. 자기 위에 사람을 인정하지 않는다. 내각 생각하는..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